문재인 대통령이 북한군의 총격으로 숨진 공무원의 고등학생 아들에게 편지를 보냈죠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"아버지를 잃은 아들의 심정을 깊이 이해한다"면서 "진실이 밝혀지도록 직접 챙기겠다"고 고인의 아들이 보낸 편지에 답장을 보냈는데요. <br /> <br />유족 측이 이 편지를 언론에 공개하자 야당과 보수 언론들은 "대통령 친필이 아닌 타이핑된 편지"라며 공세를 폈습니다. <br /> <br />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"진정성이 없다"면서 "친필로 진심을 담았어야 한다"고 주장했고,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"형식적인 답장에 착잡하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수 언론들 역시 '타이핑 답장으로 또 아프게 했다' 이런 제목을 달아 비판 기사를 냈는데요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청와대는 "내용이 중요하지 봉투나 글씨가 중요한 것이 아니지 않느냐"면서 "타이핑 여부가 왜 논란의 소재인지 이해되지 않는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"대통령의 서한은 대통령이 먼저 육필로 작성한 다음 비서진이 받아 타이핑하는 과정을 거친다"며 "이 같은 과정이 일반적인 관례"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"외국 정상들에게 보내거나 받은 친서 역시 마찬가지"라며 "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, 프란치스코 교황의 서한도 모두 타이핑한 것이었다"고 소개했는데요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 2012년 오바마 전 대통령이 판문점을 방문한 이후 자신의 안전을 책임져준 우리 군 장병에게 보낸 감사 편지 역시 친필이 아닌 타이핑된 것이었고요. <br /> <br />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주고받은 친서도 타이핑된 건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보시는 것처럼 박정희 전 대통령이 41년 전 영국 여왕에게 보낸 서신도 친필이 아닌 타이핑된 것이었죠. <br /> <br />일부 누리꾼들은 '만약 친필로 보냈다면 형식도 없이 막 써서 보냈다고 또 트집 잡을 것 아니냐"고 꼬집었는데요. <br /> <br />그러면서 "대통령 편지의 친필 여부에 시비 걸 것이 아니라 이토 히로부미 친필 논란이나 해결하라"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이번 국정감사에서 서울 소공동 옛 한국은행 본점 머릿돌에 새겨진 글씨가 안중근 의사의 총에 맞아 죽은 일본 초대 총리 이토 히로부미의 친필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식민지 잔재를 하루빨리 철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01519325774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